여객선터미널과 철도역은 서로 친구
여수를 다녀오신적 있으신가요?
해변이 아름답고 엑스포를 개최한 아름다운 항구도시입니다.
우리나라는 1876년 강화도조약으로 개항을 하게 되었는데요.
바로 부산, 인천, 원산이죠.
그 당시의 국제무역은 선박과 육로(철도)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죠. 지금도 물론이구요.
항구에 물류를 하역하면 철길을 따라 빠르게 운송하기 위한 공간계획이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부산과 인천의 여객선터미널의 위치를 보면 철도역과 인접해 있어요.
https://goo.gl/maps/F3Z8CqdwrP8Rsp3N8?coh=178572&entry=tt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크루즈탑승장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제3동
★★★★☆ · 운송 서비스
www.google.com
물론 지금 부산의 물류는 부산신항만으로 이전하였고, 일본과 제주도를 오가는 여객선터미널이 부산역과 인접해 있습니다.
인천도 역시 서울과 가까운 지리적인 특징 때문에 화물과 여객수요가 많았지만, 지금은 화물의 기능은 줄어들고 여객 위주로 바뀌었습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조금씩 변화는 있었지만 근본적으로 그 공간구조는 여전히 존재합니다.
또하나의 공간적 특징으로는 철도로 인하여 도시가 나뉘어지지 않았다는 점인데요.
원산의 경우도 아마 그렇지 않을까 하네요.
목포항, 여수항 역시 비슷한데요.
여수는 2012년도에 엑스포를 개최하면서 여수역과 여수여객선터미널의 명칭에 엑스포라는 단어를 추가되었고, 더불어 건물도 리모델링하여 현대식으로 바뀐점이 인상적입니다.
https://goo.gl/maps/sLASDrmiXc4WRYkZ7?coh=178572&entry=tt
Yeosu · 여수시
★★★★☆ · 여객선 터미널
www.google.com
개인적으로는 우리나라의 제2도시답게 부산은 지리적, 역사적인 특징 때문에 항구, 철도, 공항이 모두 두루 잘 갖추어저 있는 도시인데요.
그로인해 일본으로 가는 항공편과 배편이 많죠.
영국 프랑스 사이의 도버해협 하부에 기차가 지나가듯이 부산에서 일본을 연결하는 철도가 생기면 어떨까 하는 상상을 해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