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빌리티, 공간으로 담다./교통

왜 스크린도어는 다 비슷하게 생겼을까?

원큐우너규 2023. 5. 29. 17:00
728x90

[일] 지하철 스크린도어의 중요성

안전을 위해 정말 필요한 장치임에는 분명합니다.

통계 역시 이를 증명하는데요.

https://stat.molit.go.kr/portal/cate/statView.do?hRsId=67&hFormId=878&hSelectId=878&hPoint=00&hAppr=1&hDivEng=&oFileName=&rFileName=&midpath=&sFormId=878&sStart=2009&sEnd=2022&sStyleNum=1&settingRadio=xlsx 

 

국토교통 통계누리

범례표시 해제 승인통계는 로 표시됩니다.

stat.molit.go.kr

 

제가 제기동역에서 공익근무를 했던 2007년~2009년만 하더라도 스크린도어는 없었습니다.

대부분의 스크린도어가 2009년 이후가 되어서야 설치되기 시작되었죠.

덤으로 지금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무인발권기도 역시 2009년 중.후반기에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 되었으니

지금과 같이 스크린도어와 무인발권기가 설치된지 13년 정도 되었다고 할 수 있어요.

제가 소집해제 할 무렵에 처음 보았으니, 꽤나 옛날 이야기네요 ㅎㅎㅎ

지하역은 터널에서 나오는 분진, 미세먼지 등을 막기 위해서라도 바닥에서 천장까지 이어진 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가 되었는데요.

지상역은 환경이 조금 다른데 지하역과 같은 형태를 애매하게 적용하는데에 있어 저에게는 늘 아쉬웠습니다.

고속열차가 정차하는 동탄역에도 안전문이 있어 쾌적한 스강장을 제공합니다.

 

[이] 지상역 스크린도어

지상역 중에서 조금 다른 형태를 가진 곳이 있는데요.

서울2호선의 강변역, 건대입구역의 경우는 약1.5m정도 높이로 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잇어요.

우리나라 지상역에 유일하게 설치된 형태이지 않나 싶어요.

제가 결정권자였다면 이와같은 형태를 선택했을 거예요.

아니면 공항철도의 청라국제도시역과 영종역처럼 박스형태처럼 일체화를 하는것이 더 좋아보입니다.

[Good] 왼쪽 : 2호선 강변역   오른쪽 : 공항철도 청라국제도시 
[Bad] 왼쪽 : 동해남부선 벡스코역   오른쪽 : 9호선 개화역

 

[삼] 일본의 스크린도어

일본의 경우에는 지하역에도 높이 1.5m정도의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곳이 많아요.

최근에 개통한 곳은 역사 디자인에 신경을 많이 썼고, 더불어 안전문도 설치하였죠.

사진에 보다시피 승강장을 돔 더 돋보이도록 신경 쓴 것을 알 수 있어요.

 

우리나라 지상역에도 굉장히 디자인에 신경 쓴 플랫폼이 많더라구요. 

동해남부선의 일부 역사는 구조프레임에 색상을 넣어 포인트를 주었는데, 이 또한 나름 디자인에 신경 썼다고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스크린도어가 부조화롭다는 생각이 들어요.

지금의 스크린도어만 고집하여 사용해야 할 이유가 없다면, 플랫폼의 기본적인 기능을 유지하면서 좀 더 아름다운 디자인이 될 수 있도록 스크린도어에 좀 더 신경썼으면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