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이야기/도시이야기

서울 동북부 지역의 거점 공간으로서 발돋움

원큐우너규 2023. 6. 21. 16:54
728x90

[일] 성북역(현재 광운대역)을 추억

1986년. 수도권1호선 성북역(지금의 광운대역)과 석계역 사이에 허허벌판이 있었습니다.

월계시영아파트의 완공과 동시에 지금 부동산에서 핫하게 불리우는 미미삼(미성, 미륭, 삼호아파트)이 들어섭니다.

발이 되어주는 성북역은 그들에게 중요한 철도역이었어요.

한편으로는 월계3동을 광활한 철도와 하천(중랑천,우이천)으로 둘러싸인 섬으로 만들어 고립시킨 주범(?)이기도 하죠.

 

지금은 상봉에서 출발하는 열차가 많지만 당시 춘천으로 가던 유일한 기차가 모두 성북역에 정차를 했죠.

이문차량기지로 이전한 수도권1호선의 차량기지도 있었구요.

최근에 철거한 시멘트 사일로공장 2곳과 한솔물류창고.

그리고 매일 태화강역(당시 울산역)으로 정기 화물열차가 다니던 현대자동차 창고가 모두 성북역에 있었어요.

단순히 여객업무만 취급했던 것이 아닌 화물까지 담당했던 곳으로 서울에서 보기 힘든 대규모 면적의 철도시설이었어요. (약 15만㎡)

이제는 그 기능들이 다 사라지고 수도권 1호선과 하루왕복 2회 정차하는 경춘선만 남겨졌습니다.

한솔제지, 시멘트사일로, 현대자동차 창고가 모두 철거 되었어요.

 

 

[이] 영원한 것은 없다

30년이 지나도 월계시영아파트의 재개발과 차량기지 이전, 경춘선열차의 중단 이외에는 큰 변화가 없던 동네였어요.

그렇게 하염없이 시간만 흘르고, 전혀 개발이 없을것만 같았는데,역시 세월은 어쩔 수 없나봅니다.

미미삼의 노후화와 철도부지의 비효율적인 공간 활용으로 대대적인 개발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합니다.

HDC현대산업 개발이 광운대역세권 사업권을 가지면서 대대적인 개발에 압장섰는데요.

2023년 6월에 미미삼의 안전진단이 최종 통과되며 재개발 진행이 가속화되기 시작합니다.

https://plus.hankyung.com/apps/newsinside.view?aid=2023061370201&category=&sns=y 

 

강북권 최대 재건축 단지…'미·미·삼' 안전진단 통과

서울 강북권 최대 재건축 사업으로 꼽히는 노원구 월계동 시영아파트가 정밀안전진단을 통과했다. 이른바 ‘미미삼(미성·미륭·삼호3차)’으로 불리는 이 단지 재건축이 본...

plus.hankyung.com

 

 

[삼] 광운대역세권 지구단위계획 수립

2020년도에 광운대역세권 지구단위계획 초안이 작성된 이후에 사업이 지지부진 하면서 관련 지침도 나오지 않고 있어요.

서울시와 노원구에서 나온 자료만 확인이 가능하구요.

아직까지 지구단위계획 결정도와 지침이 공개되어 있지는 않은데, 거의 마무리 되지 않았을까 합니다.

https://mediahub.seoul.go.kr/archives/2001007?tr_code=snews 

 

광운대역세권 개발계획 확정…49층 랜드마크 들어선다

서울시대표소통포털 - 내 손안에 서울

mediahub.seoul.go.kr

https://www.nowon.kr/www/info/info8/info8_2.jsp

 

노원구청 : 노원구청 > 분야별정보 > 미래도시 > 광운대역세권 미래복합도시 개발

 

www.nowon.kr

 

 

[사] 미래의 동북부 중심 공간

노원구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아파트 뿐일겁니다.

지금은 인구수가 많이 줄었지만, 한 때 노원구 인구수가 약 60만명으로 자치구 인구가 송파구 다음으로 2위였어요.

그만큼 인구가 많은데, 대부분의 직장은 종로나 강남에 있는 베드타운이었죠.

인구수 약 40만명에 달하는 의정부시에서 출퇴근 하는 직장인들까지 겹쳐저 유일하게 강남으로 갈 수 있는 7호선, 동부간선도로는 아직까지도 아비규환입니다.

광운대역이 GTX-C 정차역으로 확정이 되었고, 광운대 역세권 개발, 미미삼 재개발로 확연히 달라질 모습에 원주민으로서 굉장히 기대가 됩니다.

좋은 공간 부탁드립니다.

https://namu.wiki/w/%EC%88%98%EB%8F%84%EA%B6%8C%20%EA%B4%91%EC%97%AD%EA%B8%89%ED%96%89%EC%B2%A0%EB%8F%84%20C%EB%85%B8%EC%84%A0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

namu.wiki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