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널/소식

동탄, 주거에 교통을 더하다.

원큐우너규 2024. 8. 17. 00:00
728x90

SRT와 나란한 GTX 승강장

 

동탄신도시
수도권에 주거를 위해 조성된 2기 신도시
동탄1,2신도시 합쳐 면적 약 33km²
인구 약 40만명의 거대도시

 
삼성반도체공장이 있고, 많은 지식산업센터가 있지만 대부분이 주거로 되어있는 동탄신도시,

2016년 12월 SRT와 2024년 3월 GTX-A의 개통으로 철도가 도시 한가운데를 지하로 관통하여 지나고 있지만,
그 위에 경부고속도로가 1신도시와 2신도시를 완전히 단절시켜 동탄이라는 이름으로 동서가 갈라진 형태를 하고 있었죠.

국내 최초로 고속도로 상부를 공원화하며 두 공간이 이어지는 역사적인 통일을(?) 이루었으며,
1신도시에서도 동탄역을 쉽게 이용 할 수 있는 길이 생겼습니다.

아직 반쪽짜리인 GTX-A이기에 이용객은 적지만,
운정-서울역 및 삼성역이 개통되면 분당, 삼성, 서울 도심까지 편안하고 빠르게 갈 수 있게 됩니다.

현재 동탄역을 중심으로 동탄-인덕원 노선이 한참 공사중이고,
동탄 도시철도 노선이 모두 동탄역을 중심으로 연결되기에 동탄역 이용객은 점점 늘어날 것으로 보이네요.
이런점에서 다른 신도시에 비해 교통계획에 많이 신경 쓴 것 같아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동탄-인덕원선 : 인덕원역-동탄역
동탄1호선 (트램예정) : 망포역-동탄역-오산역
동탄2호선 (트램예정) : 병점역-동탄역-동탄2
서울과 판교로 가는 광역버스와 시내버스
버스중앙차선

 

SRT, GTX 대합실과 연결될 예정인 동탄-인덕원선 대합실 공사 현장

 
도시계획 과정에서 차량만이 아닌 철도, 버스 등의 교통계획을 병행하여 이루어졌지만,
동탄의 첫 입주가 2007년이고, 첫 철도인 SRT가 2016년에 개통하던 것을 감안하면 10년 가까이 버스 위주의 교통망이었어요.
우리나라 도시개발의 큰 문제 중 하나가 차량을 이용하기 편리한 구조이고, 철도는 그 시가지에 맞춰서 계획되었죠.

그러다보니 신도시에 들어가는 철도 노선임에도 선형이 구불구불하게 생겼습니다.

당장은 주거공급에 더욱 집중하다보니
철도계획과 상관없이 빠르게빠르게 도시를 건설하고 입주를 강행하게 됩니다.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으니 생필품을 구입하거나 외식이라도 해야한다면
버스 배차 간격이 길어 자동차를 구입해야하고,

자동차를 구입해야 생활이 되니
결국엔 다른 대도시에서 보이는 교통문제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게 되죠.

주거 공급이란 말 뒤에 숨겨진 의도는 아파트의 건설이 아닐까?
늘상 봐오던 똑같은 아파트 위주의 주거지역이 만들어지니

이름만 신도시이지 결국 기성 도시들의 복사본인
아니, 서울의 복사본인 안타까운 우리나라의 도시모습
마치 서울을 벤치마킹 하고 싶었던 것은 아닌지 착각을 일으키기도?

 

 

앞으로 생길 신도시는 차량보다는 대중교통이 중심이 된 가로계획과,
주거, 기타시설계획이 서로 병행이 된 도시계획이 세워지는 날이 오길 기대해봅니다.

 

동탄역과 연결되어 있는 롯데백화점

 

 


 
[참고문헌]
https://www.yna.co.kr/view/AKR20240812107600061

 

화성시,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구간 상부도로 2개 29일 개통 | 연합뉴스

(화성=연합뉴스) 최해민 기자 = 경부고속도로로 단절된 경기 화성 동탄 1·2신도시를 잇는 고속도로 상부 연결 도로 2개가 이르면 오는 29일 ...

www.yna.co.kr

https://namu.wiki/w/%EB%8F%99%ED%83%84%EC%9D%B8%EB%8D%95%EC%9B%90%EC%84%A0

 

동탄인덕원선

파일:동탄인덕원선최신본.jpg 기본 계획 동탄인덕원선의 서동탄 지선(서동탄~동탄)은 1호선 연장으로 변경되었다. 인

namu.wiki

https://namu.wiki/w/%EB%8F%99%ED%83%84%20%EB%8F%84%EC%8B%9C%EC%B2%A0%EB%8F%84

 

동탄 도시철도

동탄신도시 의 교통을 분담할 도시철도 계획. 노면전차 로 건설될 예정이다. 본래 동탄 도시철도 1호선 망포역

namu.wiki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