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서해선
경기도 고양시에서 부천시, 시흥시를 지나 안산시로 향하는 수도권 전철 노선입니다.
경기도 부천시의 소사역에서 안산시의 원시역을 최초개통으로 계속해서 공사를 이어나가고 있는데요.
드디어!! 고양시의 대곡역과 부천시의 소사역 구간이 개통했어요!!
2021년에 개통하기로 되어 있었지만 김포공항역의 설계변경과 신호체계 변경으로 열차 반입이 늦어진 결과인데요.
그래도 무사히 개통하였습니다.
그리고 김포공항역은 국내 최초의 5개노선 환승역이라는 기록을 가지게 되었네요~
대곡역은 현재 3호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그리고 내년에 개통할 GTX-A노선까지 총 4개의 노선 환승역이 될 예정입니다.
https://www.yna.co.kr/amp/view/AKR20230629037451060
서해선 복선전철 고양 대곡∼부천 소사 18.3㎞ 내달 1일 개통(종합) | 연합뉴스
(의정부=연합뉴스) 우영식 기자 = 서해선 복선전철 대곡∼소사 구간(18.3㎞)이 다음 달 1일 개통돼 경기 서북부 주민들의 출퇴근길이 빨라진다...
www.yna.co.kr
[이] 김포공항의 접근 향상
아무래도 가장 반가운 것은 고양시, 시흥시, 안산시, 부천시 시민들일 겁니다.
사실 서해선은 서울시민을 위한 것 보단 경기 서부권 시민들의 편의를 위한 노선인데요.
서해선 중 유일하게 서울시에 있는 역인 김포공항으로의 접근이 좋아진 것이 눈에 띕니다.
기존에는 DMC나 홍대입구에서 갈아타야했어요.
일산역 기준으로 시간이 1시간 정도 걸렸죠.
하지만 서해선 개통으로 30분 정도면 갈 수 있게 되었어요.
더불어 김포공항역에서 5호선, 9호선, 공항철도, 김포골드라인으로 환승하여 서울의 광화문, 강남, 김포시로의 접근이 편리합니다.
부천종합터미널에서는 7호선 환승으로 가산디지털단지, 논현 등 주요 업무지역으로 이동이 편리해졌구요.
또한 이번에 개통한 원종역은 추후에 대장-홍대선이 개통한다면 서울의 강서구 접근이 편리해질 예정입니다.
https://namu.wiki/w/%EB%8C%80%EC%9E%A5%ED%99%8D%EB%8C%80%EC%84%A0
대장홍대선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
namu.wiki
[삼] 고속열차의 도입
지금 현재 원시역에서 충청남도 홍성군으로 연장건설이 진행되고 있어요.
완공이 된다면 고속열차가 다닐 예정입니다.
또한 파주, 고양시에서 충청남도권으로 운송할 화물열차가 다닐 계획이라고 합니다.
지금 경부선의 과부하를 덜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죠.
비록 출퇴근시간대에 12분 간격, 평상시에는 20분 간격으로 운행되고 있지만,
고속열차가 다닐 때에는 좀 더 나아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앞으로도 더욱 편리한 교통수단이 되어주세요~
https://namu.wiki/w/%EC%84%9C%ED%95%B4%EC%84%A0
서해선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
namu.wiki
'■ TOD이야기 > 교통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장이 아닌데 왜 가다가 기관차를 교체할까요? (0) | 2023.11.15 |
---|---|
스위치백 구간을 아시나요? (2) | 2023.10.30 |
1호선 노량진역 의문의 3번 승강장 (0) | 2023.07.13 |
교외선을 아시나요? (2) | 2023.07.06 |
하남시에서 SRT타러 가는 법 (0) | 2023.06.29 |
비행기타고 울룽도 가자 (0) | 2023.06.26 |
운송수단의 패러다임을 바꾼 자율주행버스 (0) | 2023.06.06 |
왜 스크린도어는 다 비슷하게 생겼을까? (0) | 2023.05.29 |